1. 발생 직후 24시간 방역 행동수칙

발생·의심 통보 직후에는 외부인·차량 전면 통제, 농장 내 동선 단일화, 의심 개체 즉시 분리, 기록·영상으로 상태 보존이 핵심입니다. 사료·물품 반입을 중단하고, 출입구에 신발 소독조·손소독을 상시 유지합니다. 관할기관 지시에 따라 시료 채취·이동제한을 준수합니다.

1-1. 출입 통제와 현장 격리 기준

출입문을 단일화하고 ‘무단 출입 금지’ 안내를 설치합니다. 대인·차량 명부를 중단하고 기존 예약·방문은 전면 취소합니다. 의심 돈군은 별도 우리에 격리하고, 사육사 지정 1인만 투입하며 PPE 착·탈 기준을 문앞에 부착합니다.

1-2. 신고·기록·소통 프로토콜

관할 지자체·가축방역기관에 즉시 신고하고, 의심 징후(고열·식욕부진·자색반점)를 사진·영상으로 기록합니다. 사료·운송사·수의사 등 이해관계자에 상황을 통지하고, 불필요한 연락·유언비어 확산을 차단합니다.
  • 출입문 1곳만 운영, 임시 펜스 설치
  • 의심 개체 격리·전용 도구 분리
  • PPE 착탈순서 게시·감시자 지정
  • 신고·사진기록·방역일지 즉시 시작
 

아프리카돼지열병이란? 원인·증상·치료 없는 전염병의 모든 것

아프리카돼지열병(ASF)은 돼지·멧돼지에 치명적인 바이러스성 전염병으로, 사람에게는 전염되지 않지만 양돈 산업에는 막대한 피해를 남깁니다. 원인부터 증상, 방역과 신고까지 핵심만 정리했

dora.catmumu.com

2. 차량·장비 소독 표준 절차

사료·분뇨·출하 차량 등 모든 외부 차량은 농장 외곽 대기 후 거점 또는 농장 전용 소독라인을 통과해야 합니다. 고압수 세척→세제→소독제→접촉시간 준수→헹굼 순서를 지키고, 저온 시 예열·농도 보정이 필요합니다. 장비·핸드툴도 동일 원칙을 적용합니다.

2-1. 거점소독시설·세차라인 활용법

바닥 진흙·유기물을 완전히 제거한 뒤 세제세척을 하고, 차체 하부·휠하우스·범퍼 틈까지 분사합니다. 운전석 내부 손잡이·페달·매트는 별도 분무·와이핑을 병행합니다. 출입 스케줄은 밀어넣기 대신 배치 최소화가 원칙입니다.

2-2. 소독제 선택·농도·접촉시간

정부 고시 유효성 제품을 사용하고 라벨 농도·접촉시간을 준수합니다. 저온·고유기물 환경에서는 농도 상향 또는 예비세척을 적용합니다. 분무 시 미세입자화, 표면이 젖어있도록 10~30분 유지 후 자연건조를 권장합니다.
단계 핵심 포인트
세척 유기물 제거 후 세제
소독 라벨 농도·시간 준수
건조 자연건조로 효과 유지

3. 사료·분뇨·사체 관리 요령

사료는 밀폐 사일로·차광·방조망으로 야생멧돼지·조류 접근을 차단합니다. 분뇨 이동은 중지하고 저장조를 봉쇄합니다. 폐사축은 즉시 분리·밀봉해 임시저장 후 지침에 따른 처리만 시행합니다. 외부 반입·반출은 모두 기록하고 증빙을 보관합니다.

3-1. 사료 보관·급이 라인 위생화

사일로 주변 풀베기·배수로 정비로 동물 접근을 방지합니다. 급이 라인·버킷은 하루 1회 이상 세척·건조하며, 반입 포대는 즉시 비닐 제거·폐기합니다. 샘플 보관으로 오염 의심 시 역추적이 가능하게 합니다.

3-2. 분뇨·사체의 안전 처리

분뇨차량 출입을 중단하고 내부 순환만 유지합니다. 폐사축은 누수 없는 용기·저온 보관, 지정 장소에서만 보관 후 관할기관 지시에 따라 처리합니다. 무단 매립·소각은 법적 문제와 전파 위험을 키웁니다.
  • 사료 밀폐·방조망·배수로 관리
  • 분뇨 이동 중단·저장조 봉쇄
  • 폐사축 밀봉·저온·지침 처리
  • 반입·반출 전수 기록 보관

4. 인력·동선·작업복 관리

청결구역(사육동 내부)과 오염구역(외부)을 명확히 구분하고, 샤워-인/샤워-아웃 원칙을 적용합니다. 작업복·장화·장갑은 구역 전용으로 분리하며, 외부 농장·산행·야생동물 접촉 후 최소 48시간 출입 자제를 권합니다. 교육·점검을 일상화합니다.

4-1. 구역화·동선 최소화 설계

입구에 스텝오버·신발소독조를 설치하고, 청결→오염 방향 작업만 허용합니다. 수의사·납품업체 방문은 시간·장소를 묶어 한 번에 처리하고, 방문 시 전용 PPE·장화를 지급합니다. 출입증으로 구역 이동을 통제합니다.

4-2. 개인보호구(PPE)와 위생 수칙

1회용 커버올·장갑·마스크·고글을 지급하고, 착탈 순서를 표준화합니다. 손씻기 30초, 알코올 손소독 병행, 샤워실·세탁실을 분리 운영합니다. 오염 PPE는 밀봉 배출하고, 재사용 장비는 즉시 세척·건조합니다.
  • 스텝오버·소독조 상시 가동
  • 방문객 전용 PPE·장화 지급
  • 샤워-인/아웃, 세탁 분리
  • 동선 역류·교차 금지

5. 이동제한 대응과 재개장 준비

이동제한·예찰·검사 명령에 적극 협조하고, 반입·반출·소독 실적을 일자별로 기록합니다. 역학조사에 대비해 CCTV·출입기록·방문자 명단을 정리합니다. 재개장 전 점검표·모의훈련으로 취약점을 수정하고, 표준운영절차(SOP)를 문서화합니다.

5-1. 이동제한 기간 운영 원칙

축산 관련 모든 이동을 중단하고 필수 인력만 투입합니다. 사료·물·전력은 비상 재고를 확보하고, 장비 고장 대비 대체 계획을 세웁니다. 매일 방역일지·체크리스트를 작성해 감사·보상 절차의 증빙으로 활용합니다.

5-2. 재개장 전 사전 점검·훈련

구역별 소독 검증, 해충·설비 점검, 인력 교육을 완료합니다. SOP에 따라 비상 연락망·신고 흐름을 재점검하고, 1시간 내 응답 모의훈련으로 실효성을 확인합니다. 주요 개선사항은 사진으로 기록·보관합니다.
항목 확인 내용
기록 방역일지·출입·소독 실적
시설 소독라인·스텝오버 점검
인력 교육·모의훈련 완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