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입문용 드론 선택 체크리스트

경기용 드론은 ‘구기용 가드 프레임’이 필수이며, 조종기·배터리·충전기까지 패키지 호환성을 확인해야 합니다. 여유 배터리를 준비하고, 수리 난이도와 예비 부품 공급성도 함께 점검합니다.

1-1. 프레임·가드·추진부 기본

실내 충돌을 견디는 원형 가드, 균형 잡힌 모터·프롭, 유지보수 쉬운 구조가 적합합니다. 무게 중심이 안정적일수록 슈팅 후 복귀가 빠르고 초보 실수에도 관용적입니다.
가드 형태 원형 통가드(손가락·프롭 보호)
프레임 소재 충격 분산형(교체 용이)
모터/프롭 중속 안정형(급가속보다 제동 응답)

1-2. 배터리·충전·호환성

경기 전후 반복 출전을 고려하면 배터리 예비분과 균일 충전이 중요합니다. 커넥터 규격과 충전기 안전 기능을 확인하고, 팀에서 쓰는 표준과의 호환성을 맞춥니다.
  • 예비 배터리 최소 3~4개 준비
  • 충전기 과충전·역극성 방지 기능 확인
  • 팀·리그 표준 커넥터/전압 규격 일치
 

드론축구, 전주에서 열린 세계 최초 월드컵!

전주월드컵경기장 광장에서 2025년 9월 25~28일, 드론축구 사상 첫 월드컵이 펼쳐집니다. 대회 핵심, 관람 포인트, 준비 가이드를 한 번에 정리했습니다.📋 목차✓ 1. 세계 최초 드론축구 월드컵,

dora.catmumu.com

2. 조종기 & 시뮬레이터 세팅

조종기는 그립과 스틱 응답이 일정한 모델을 추천합니다. 시뮬레이터로 충돌 비용 없이 안전하게 감각을 익히고, 동일한 스틱 배치·감도를 실기로 그대로 적용합니다.

2-1. 스틱 모드·감도·트림

팀 표준 모드(Mode 1/2)를 맞추고, 초반엔 낮은 감도와 부드러운 곡선으로 미세 조작을 연습합니다. 트림은 ‘호버링 유지’ 기준으로 최소화합니다.




2-2. 시뮬레이터 루틴

벽·골대·상대와의 거리감을 익히려면 ‘게이트 통과→8자 비행→급정지→턴’ 순서를 10~15분 세트로 반복합니다. 피로 누적 전 짧고 자주가 효과적입니다.
  • 워밍업: 직선 통과 10회
  • 핵심: 8자 비행 3세트
  • 제동: 급정지→반대 턴 10회
  • 마무리: 저속 드리블 2분
🌈 함께보면 좋은 글 모음
 

드론축구 이렇게 즐긴다! 초보자도 알기 쉬운 가이드

드론축구는 ‘비행+팀플레이+전술’이 어우러진 신개념 스포츠입니다. 이 글은 규칙·안전·조종 기본기·연습 루틴·대회 준비까지 초보가 바로 적용할 수 있도록 한눈에 정리했습니다.📋 목차

dora.catmumu.com

3. 기본 비행 스킬 루틴

드론축구의 핵심은 ‘정확한 라인 유지와 충돌 후 안정 복구’입니다. 속도보다 브레이크·턴·재가속을 반복해 몸에 익히고, 시야 분배와 상황 판단을 병행합니다.

3-1. 호버링·라인·8자

센터에서 호버링 유지→사이드 라인 타기→8자 비행으로 난도를 올립니다. 기체 기울기보다 ‘진행 방향’에 집중하면 시야 피로가 줄고 실수가 감소합니다.
드릴 목표 시간
호버링 고도/방위 10초 유지 3분
라인 타기 좌우 벽 30cm 유지 5분
8자 비행 턴 후 자세 복구 5분

3-2. 가감속·브레이크·턴

슈팅 전후 급가속과 브레이크를 매끄럽게 연결합니다. 스로틀을 먼저 줄여 추를 빼고, 요·롤 순서로 회전 후 짧게 재가속하면 라인이 깔끔합니다.
  • 감속→요 턴→롤 보정→재가속
  • 브레이크 시 스로틀 먼저 감쇄
  • 턴 직후 고도 회복 체크

4. 팀 전술과 연습 드릴

포지션은 스트라이커·미드필더·수비로 나뉘며, 라인 간격을 유지한 ‘삼각형’ 구조가 기본입니다. 패스 각도와 차단 타이밍을 시간 단위로 반복 훈련합니다.

4-1. 포지션 역할과 콜사인

스트라이커는 골 타깃, 미드는 연결·세컨드볼, 수비는 차단·클리어가 임무입니다. 단문 콜사인으로 의사소통을 단순화해 반응 속도를 높입니다.




4-2. 패스·차단·세트플레이

사선 패스는 위험하니 측면→중앙 ‘ㄱ’자 패스를 기본으로 하고, 킥오프·코너 상황을 세트로 미리 설계합니다. 차단 후 즉시 측면 탈출이 안전합니다.
  • 사이드→하프라인 ‘ㄱ’자 패스 10회
  • 차단 후 2초 내 측면 이탈
  • 코너: 근·원거리 두 가지 패턴

5. 안전·장비관리·대회 준비

실내 스포츠라도 안전이 최우선입니다. 프롭·가드 손상 점검과 배터리 보관 규칙을 지키고, 경기 규정·장비 체크리스트·예비 부품을 사전에 준비합니다.

5-1. 안전 수칙·비상 대응

프롭 정지·전원 분리 절차를 팀과 공유합니다. 경기장 내 출입 동선과 관중 거리 확보, 배터리 발열 시 격리 등 기본을 표준화합니다.
상황 조치
충돌 후 프로펠러 손상 즉시 착륙→전원 차단→교체
배터리 과열 격리 보관함 이동→자연 냉각
신체 접촉 사고 운영진 호출→경기 중지

5-2. 장비 점검·대회 체크리스트

경기 전 나사 토크·가드 균열·펌웨어·리시버 링크를 점검하고, 예비 프롭·배터리·테이프·공구를 준비합니다. 규정 준수는 운영진 가이드에 따릅니다.
  • 나사/가드/프롭/배터리 상태 점검
  • 조종기·수신기 링크 테스트
  • 예비품·공구·테이프 풀세트
  • 팀 전술 보드·콜사인 최종 확인